인천시가 대구지하철 방화참사에도 불구하고 새 전동
차를 구매하면서 내장판 등에 대한 불연재 사용만 강
조하고 있어 신규 전동차 구매요건을 수출용으로 제한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천시는 그동안 계양역 건설과 관련, 지난해 총 230
억원을 들여 중형 전동차 16량을 제작 구매키로 하고
조달청에 전동차 제작구매를 의뢰했었다.
3일 시에 따르면 계양역 신설에 따라 전동차 2개편 증
설이 요구돼 전동차 1량당 14억원대 전동차 16량을 구
매키로 하고 모두 230억원을 투입키로 결정, 지난 1
월 새 전동차 제작규격까지 공고했다.
시는 특히 이번 대구지하철 방화참사와 관련해 전동
차 내장판과 객실의자, 바닥재 등에 대한 불연재 사
용 강화를 검토, 이미 공고한 제작 규격 요건을 변경
해 이달중 재공고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같은 시의 전동차 구매 계획에 대해 전문가
들은 시민의 안전을 위해서는 불연재 사용이 강화된
전동차보다 처음부터 불이 붙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
는 수출용으로의 전면 교체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다.
특히 전문가들은 인천시가 전동차 내장판과 바닥재 등
을 불연재로 강화하는 등 제작요건을 바꾼다면 당연
히 구매가격도 230억원보다 높아질 것이라며 그럴 바
에는 차라리 수출용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는 지적이
다.
이와 관련, 하석용 인천유네스코협회장은 “수출용 전
동차는 1량당 17억원대로 알고 있다”며 “불연재 강
화 전동차(230억원 이상)와 수출용 전동차(270억원대)
의 가격을 대비해 보더라도 전면교체가 타당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오는 10일부터 100원씩 인상되는 지하
철요금인상분 44억원(2003년도)을 제연커튼개선, 소화
기 및 산소호흡기 확충 등에 투입키로 하고 전동차 내
장재 교체는 중·장기 사업으로 분류한 것으로 알려
져 시민반발이 예상된다.
<3/4 기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