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천교통공사 Incheon Transit Corporation


알기쉬운 환경상식

  1. 안전환경
  2. 환경 지하철
  3. 알기쉬운 환경상식

미세먼지란 무엇인가요?

  • 미세먼지(PM-10, PM-2.5)란?
    미세먼지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를 말합니다. PM10은 10 ㎛ 이하의 입자 크기의 먼지로 구성된 미세먼지와 PM2.5는 2.5 ㎛ 이하의 입자크기의 먼지들로 구성된 초미세먼지로 구분됩니다. 미세먼지는 일반 먼지들보다 크기가 매우 작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실내공기 중에 머물러 있다가 호흡기를 통해 폐, 기관지 등에 침투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2/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미세먼지는 입자가 매우 작아 코털이나 기관지 점막에서 걸러져 배출되지 않고 코, 구강, 기관지를 통하여 우리 몸 속까지 스며듭니다.
    미세먼지가 몸 속에 유입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먼지를 제거하도록 작용하는데, 이 때 부작용인 염증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도, 폐, 심혈관 등 몸의 각 기관에서 염증반응이 발생하면 천식, 호흡기, 심혈관 질환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농도와 성분이 동일하다면 입자크기가 더 작을수록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지정하였으며,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질환에는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천식 등이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노인, 유아, 임산부, 심장 및 순환기 질환자들에게 일반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2/htmlCnView.do]
  • 인천교통공사는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가요?
    미세먼지는 지하철 바퀴와 레일 마모, 외부 오염된 공기 유입 등 다양한 경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인천교통공사는 승강장안전문(PSD) 설치 및 4중 필터 시스템으로 내·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먼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1호선 32.8μg/㎥, 2호선 31.4μg/㎥, 7호선 42.6μg/㎥로 법적유지기준(100μg/㎥) 이하로 관리하고 있으며, 초미세먼지(PM2.5) 평균농도는 1호선 17.0μg/㎥, 2호선 15.0μg/㎥으로, 7호선 22.9μg/㎥로 법적유지기준(50μg/㎥)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란 무엇인가요?

  • 이산화탄소(CO₂)란?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 CAS 번호 : 124-38-9)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대기 중에는 약 0.04 %정도 존재하며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물질 중 영향이 가장 큰 물질입니다.
    실내공기질 관리측면에서 실내 이산화탄소는 환기상태의 적절성 판단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호흡에 필요한 산소의 양이 부족하게 되어 일산화탄소와 함께 실내오염물질로 지정되어 관리 중에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3/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이산화탄소는 무독성 기체이나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는 산소의 비중을 낮추게 되어 호흡곤란, 어지럼증, 피로 등의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700~1,000 ppm이면 불쾌감이 느껴지고, 1,000~2,000 ppm 사이일 경우 피로와 졸림 현상이 나타나는 등 컨디션 변화가 발생하며, 2,000 ppm 이상이면 두통 및 어깨 결림, 3,000 ppm 초과 시 현기증 등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3/htmlCnView.do]
  • 인천교통공사는 이산화탄소로부터 안전한가요?
    이산화탄소는 정상적인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로써 환기상태의 척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천교통공사는 송풍기 및 공기조화설비를 이용하여 충분한 환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도 공기질 측정결과 이산화탄소 평균농도는 1호선 544.6ppm, 2호선 496ppm으로 법적유지기준(1,000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폼알데하이드란 무엇인가요?

  • 폼알데하이드(HCHO)란?
    폼알데하이드 는 강한 자극성 냄새를 가진 무색 투명한 기체로 수용성이 강하며, 살균제, 합성수지 원료 등으로 사용됩니다. 폼알데하이드 및 이를 1%이상 함유한 혼합물에 대하여 제한물질(고유번호:06-5-5)로 지정하여 가구용 무늬목, 직물, 유아용제품, 도배용 풀, 피혁가공 유연제의 용도로 제조, 수입, 판매, 보관 및 저장, 운반,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12/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호흡 및 피부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며, 흡수보다는 흡입에 의한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입 시 인후통, 기침, 숨가쁨을 유발 할 수 있으며, 호흡기의 과민성과 자극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25~30ppm의 농도에서는 폐부종 및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호흡기 손상을 유발하여 세계보건기구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습니다. 노출 시 메스꺼움, 구토, 설사, 기침, 기관지염, 폐렴, 혈뇨, 중추신경계 장애, 쇼크, 혼수 및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12/htmlCnView.do]
  • 인천교통공사는 폼알데하이드로부터 안전한가요?
    지하생활환경에서 발생되는 실내공기 중의 폼알데하이드는 건축자재, 상가, 등에서 많이 방출됩니다. 또한 단열재인 우레아수지폼과 실내 가구의 칠, 가스난로 등의 연소과정, 접착제, 흡연, 생활용품, 의약품, 접착제 등에 의해 발생됩니다. 인천교통공사는 친환경 페인트 및 자재 사용으로 폼알데하이드의 생성을 방지하고, 충분한 환기를 통해 포름알데하이드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폼알데하이드 평균농도는 1호선 8.3μg/㎥, 2호선 12.6μg/㎥, 7호선 11.3μg/㎥으로 법적 유지기준(100μg/㎥)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일산화탄소란 무엇인가요?

  • 일산화탄소(CO)란?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CAS 번호 : 630-08-0)는 무색, 무미, 무취의 유독성 가스로 산소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곳에서 연소하거나, 이산화탄소가 높은 온도에서 탄소에 의해 환원될 때 발생되는 등 탄소성분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합니다.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는 인체에 흡입 시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내에서 일산화탄소는 취사, 난방으로 인한 연소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며, 흡연에 의해서도 나타납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6/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일산화탄소는 흡입을 통해 인체에 유입됩니다. 일산화탄소 자체로는 독성이 없으나 혈액순환 중에서 산소운반 역할을 하는 헤모글로빈(Hb)을 카르복실헤모글로빈(COHb)으로 변성시켜 산소의 운반기능을 저하시킵니다. 이는 산소공급능력을 방해하여 체내조직세포의 산소부족을 일으켜 중독증상이 나타납니다.
    고농도의 일산화탄소에 중독되었을 경우 의식을 잃거나 뇌조직과 신경계통에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단기간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한 경우 저체온, 발열, 혈압변화, 구토, 호흡곤란, 두통, 졸음, 현기증, 환각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영향으로는 성장장애, 만성 호흡기질환(폐렴, 기관지염, 천식) 등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6/htmlCnView.do] .
  • 인천교통공사는 일산화탄소로부터 안전한가요?
    인천교통공사는 환기시스템을 통해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4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일산화탄소 평균농도는 1호선 1.0ppm, 2호선 0.7ppm, 7호선 0.5ppm으로 법적 유지기준(10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산화질소란 무엇인가요?

  • 이산화질소(NO₂)란?
    이산화질소(NO2, Nitrogen dioxide, CAS 번호 : 10102-44-0)는 인체에 유해한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적갈색의 반응성이 큰 기체로 취사 및 난방 등으로 인한 연소와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어 나타납니다.
    대기 중에서는 일산화질소(NO)의 산화에 의해서 발생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과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전구물질로 작용합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7/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이산화질소는 고농도에 노출 될 경우 눈, 코 등의 점막에서 만성 기관지염, 폐렴, 폐출혈, 폐수종 등이 발병됩니다. 사람의 호흡을 통하여 인체로 유입된 이산화질소는 폐포까지 도달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능력을 저하시키고 수시간 내에 호흡곤란을 수반한 폐수종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흡입에 의한 독성이 문제가 되지만 자극적인 냄새로 과량 흡입은 흔히 일어나지 않으나 소량의 기체를 지속적으로 흡입 할 경우 코를 마비시키기 때문에 과량의 노출로 인한 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식물에는 식물세포를 파괴하여 갈색이나 흑갈색의 반점이 잎에 나타나게 됩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7/htmlCnView.do]
  • 인천교통공사는 이산화질소로부터 안전한가요?
    인천교통공사는 지하철 운행에 있어 전기를 사용하는 친환경 운송수단으로써 실내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2023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이산화질소 평균농도는 1호선 0.031ppm, 2호선 0.021ppm, 7호선 0.031ppm으로 법적권고 기준(0.1ppm)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라돈이란 무엇인가요?

  • 라돈이란?
    라돈이란 토양, 암석 중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238U)이 몇단계 방사성붕괴를 거듭한 후 생성되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지구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능 물질입니다. 사람이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5%는 자연방사선에 의한 것이고, 그 중 약 50%는 라돈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8/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라돈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에 들어와 폐, 기관지에 흡착되어 방사선을 방출,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8/htmlCnView.do]
  • 인천교통공사는 라돈으로부터 안전한가요?
    라돈은 지하 터널, 배수펌프실, 벽의 갈라진 틈등을 통해 유입됩니다. 특히, 지하수가 유입되는 배수펌프실에서 라돈이 휘발되어 역사 내로 확산될 확률이 높습니다. 우리 공사에서는 배수펌프실 환기설비 설치, 덮개 설치 등을 통해 라돈 농도 저감 및 확산 방지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3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라돈 평균농도는 1호선 16.6Bq/㎥, 2호선 15.0Bq/㎥, 7호선 25.2Bq/㎥으로 법적권고기준(148Bq/㎥)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208/htmlCnView.do]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무엇인가요?

  • 총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며,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PAN(Peroxyacetyl nitrate)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하여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합니다. 또한 대기 중의 특정조건에서 반영하여 PM2.5를 생성합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물질에 따라 다르나 대개의 경우 저농도에서 악취를 유발하고 환경 및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벤젠 등 일부 물질은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108/htmlCnView.do]
  •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VOCs의 인체영향으로 독성화학 물질이면서(특히 방향족화합물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물질) 광화학산화물 전구물질로 대기 중 미량으로 존재하더라도 발암가능성이 있다.
    [출처 : “환경유해인자정보”,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https://www.ehtis.or.kr/cmn/sym/mnu/mpm/111021108/htmlCnView.do]
  • 인천교통공사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로부터 안전한가요?
    실내에서의 VOCs 발생원으로는 건축자재와 마감재료, 건물의 유지관리용품(청소용, 각종 세척제 등), 소모성 재료(복사기의 토너), 연소과정의 물질, 재실자의 활동, 외부공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천교통공사는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자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하고 환기시설을 이용하여 실내공기가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총휘발성유기화합물 평균농도는 1호선 105.2μg/㎥, 2호선 105.5μg/㎥, 7호선 76.7μg/㎥으로 법적 권고기준(500μg/㎥)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측정결과를 구분, 유지기준[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초미세먼지(PM2.5),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권고기준[이산화질소(NO₂), 라돈(Rn),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으로 나누어 작성한 표
구분 유지기준 권고기준
미세먼지
(PM-10)
포름알데히드
(HCHO)
초미세먼지
(PM2.5)
일산화탄소
(CO)
이산화탄소
(CO2)
이산화질소
(NO2)
라돈
(Rn)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단위 ㎍/㎥ ㎍/㎥μg/㎥ ㎍/㎥ ppm ppm ppm Bq/㎥ ㎍/㎥
기준 100 100 50 10 1,000 0.1 148 500
주기 1회/년 1회/2년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2020. 4. 3. ~)
 

담당부서
기계환경팀 032-451-2347

퀵메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