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상이나 지하1층에서 바로 승강장으로 연결됩니다. 계단을 오르내리기 어려운 노약자와 장애인들은 엘리베이터 옆에 있는 인터폰으로 역무원과 통화하여 도움을 받아 엘리베이터를 타고 승강장까지 내려갈 수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신 분들은 계단을 내려 갈 수가 없기 때문에 인천지하철 정거장에는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터폰으로 역무원과 통화를 하시면 리프트를 탈 수 있도록 작동시켜 줍니다.
장애인들은 화장실을 이용하기가 어려워서 특별한 장비가 마련되어 있으며, 혼자 사용하고 있을때 어려운 일이 생기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인터폰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역에 있는 노랗고 올록볼록한 타일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블록입니다. 점자로 가야할 곳과 서야할 곳, 방향이 바뀌는 곳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휠체어를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의자 대신 휠체어를 탄 사람이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호선 | 구간 | 전동차 전용공간 승하차 위치 | 비고 | |
---|---|---|---|---|
인천 1호선 | 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 | 3-1, 6-4 | 8량 | |
인천 2호선 | 검단오류 ~ 운연 | 1-3, 2-1 | 2량 | |
서울 7호선 | 까치울 ~ 석남 | 1-4, 4-1, 5-4, 8-1 | 8량 |
1호선
종류 | 설치역수 | 수량 | 역명 | |
---|---|---|---|---|
계 | 30 | 403 | ||
엘레베이터 | 외부 | 27 | 37 | 전 역사(계양, 갈산, 부평구청 제외) |
내부 | 30 | 51 | 전 역사 | |
에스컬레이터 | 외부 | 25 | 71 | 전 역사 (계양, 귤현, 임학, 부평, 동막 제외) |
내부 | 26 | 173 | 전 역사 (귤현, 박촌, 신연수, 동막 제외) |
|
휠체어리프트 | 1 | 2 | 부평 | |
유도점자타일 | 30 | - | 전 역사 | |
경사로 | 28 | 37 | 전 역사(부평구청, 인천터미널 제외) | |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 30 | 30 | 전 역사 |
2호선
종류 | 설치역수 | 수량 | 역명 | |
---|---|---|---|---|
계 | 27 | 400 | ||
엘레베이터 | 외부 | 26 | 51 | 전 역사(운연 제외) |
내부 | 27 | 63 | 전 역사 | |
에스컬레이터 | 외부 | 20 | 57 | 전 역사 (석남, 서부여성회관, 인천가좌, 주안국가산단 시민공원, 석바위시장, 운연 제외) |
내부 | 27 | 150 | 전 역사 | |
휠체어리프트 | - | - | - | |
유도점자타일 | 27 | - | 전 역사 | |
경사로 | 27 | 52 | 전 역사 | |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 27 | 27 | 전 역사 |
7호선[석남연장선(까치울~석남)]
종류 | 설치역수 | 수량 | 역명 | |
---|---|---|---|---|
계 | 11 | 245 | ||
엘레베이터 | 외부 | 11 | 26 | 전역사 |
내부 | 11 | 26 | 전역사 | |
에스컬레이터 | 외부 | 11 | 80 | 전역사 |
내부 | 11 | 83 | 전역사 | |
유도점자타일 | 11 | - | 전역사 | |
경사로 | 9 | 21 | 까치울(1), 부천종합운동장(2), 춘의(2), 상동(2), 삼산체육관(2), 굴포천(2), 부평구청(4), 산곡(2), 석남(4) |
|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 9 | 9 | 석남, 산곡, 굴포천, 삼산체육관, 상동, 부천시청, 신중동, 춘의, 까치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