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상이나 지하1층에서 바로 승강장으로 연결됩니다. 계단을 오르내리기 어려운 노약자와 장애인들은 엘리베이터 옆에 있는 인터폰으로 역무원과 통화하여 엘리베이터를 타고 승강장까지 내려갈 수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신 분들은 계단을 내려 갈 수가 없기 때문에 인천지하철 정거장에는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터폰으로 역무원과 통화를 하시면 리프트를 탈 수 있도록 작동시켜 줍니다.
세번째, 여섯번째 칸에는 휠체어를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의자 대신 휠체어를 탄 사람이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장애인들은 화장실을 이용하기가 어려워서 특별한 장비가 마련되어 있으며, 혼자 사용하고 있을때 어려운 일이 생기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인터폰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역에 있는 노랗고 올록볼록한 타일은 앞이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타일입니다. 점자로 가야할 곳과 서야할 곳, 방향이 바뀌는 곳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1호선
종류 | 설치역수 | 수량 | 역명 | |
---|---|---|---|---|
계 | 30 | 332 | ||
엘레베이터 | 외부 | 27 | 37 | 전 역사(계양, 갈산, 부평구청 제외) |
내부 | 30 | 50 | 전 역사 | |
에스컬레이터 | 외부 | 24 | 69 | 전 역사 (계양, 귤현, 임학, 부평, 동막, 국제업무지구 제외) |
내부 | 26 | 173 | 전 역사 (계양, 박촌, 신연수, 동막 제외) |
|
휠체어리프트 | 2 | 3 | 부평(2), 동막(1) | |
유도점자타일 | 30 | - | 전 역사 | |
경사로 | 28 | 37 | 전 역사(부평구청, 인천터미널 제외) | |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 30 | 30 | 전 역사 |
2호선
종류 | 설치역수 | 수량 | 역명 | |
---|---|---|---|---|
계 | 27 | 400 | ||
엘레베이터 | 외부 | 26 | 51 | 전 역사(운연 제외) |
내부 | 27 | 63 | 전 역사 | |
에스컬레이터 | 외부 | 20 | 57 | 전 역사 (석남, 서부여성회관, 인천가좌, 주안국가산단 시민공원, 석바위시장, 운연 제외) |
내부 | 27 | 150 | 전 역사 | |
휠체어리프트 | - | - | - | |
유도점자타일 | 27 | - | 전 역사 | |
경사로 | 27 | 52 | 전 역사 | |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 27 | 27 | 전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