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인천교통공사 Incheon Transit Corporation


보도자료

  1. 알림마당
  2. 뉴스룸
  3. 보도자료
  4. 언론보도

인천지하철 객차에 비상통화 녹음장치 설치

  • 작성자
    홍보팀(홍보팀)
    작성일
    2008년 9월 3일(수) 00:00:00
  • 조회수
    8291

승객·기관사 비상통화 자동 녹음

 

인천지하철… 사고 원인 규명에 도움

 

최재용 기자 jychoi@chosun.com  

 

 

 인천지하철 1호선 전동차 객실에 승객과 기관사 간의 비상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는

장치가 설치됐다. 사고 발생 때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인천지하철공사는 전동차 객실에서 안전사고 등 비상 상황이 일어났을 때 승객과 기관사가

통화한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는 녹음 장치를 자체 개발해 1호선 모든 전동차에 1 량당

2대씩 설치했다고 밝혔다.

 

 이 장치는 비상시에 승객이 사용토록 한 객실 비상인터폰에 설치돼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며, MP3 파일 형태로 열차중앙제어기 저장매체에 기록돼 녹음 내용이 영구 보존된다.

 

 공사 관계자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운행하는 열차에는 비상 사태 때 승객과 기관사가

통화한 내용을 기록하는 장치가 없어 사고의 원인을 찾고 분석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 장치 개발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공사는 이 장치에 대한 특허도 신청했으며, 앞으로 이 장치가 국내 모든 열차에 사용된다면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지하철 객차에 비상통화 녹음장치 설치

  

 

국내 최초 개발..사고원인 규명 등 기대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인천지하철공사는 국내 최초로 전동차객실 비상통화 자동녹음장치를 개발해 인천지하철 1호선

전동차에 설치를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이 장치는 비상시 승객이 사용하는 인터폰에 설치돼 승객과 기관사의 통화내용을 녹음하며 MP3

파일 형태로 열차중앙제어기 저장매체에 기록돼 녹음내용을 영구보존할 수 있다.

 

공사 관계자는 "국내에서 운행하는 열차에는 승객과 기관사의 통화내용을 기록하는 장치가 없어

그동안 사고발생시 정확한 원인 규명과 분석이 어려웠다"면서 "현재 전동차 1량당 2대씩 설치를

끝내고 특허출원도 한 상태"라고 말했다.

 

 공사 측은 이 장치를 국내 모든 열차에 적용할 경우 사고정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mj@yna.co.kr

 

목록

담당부서
미디어팀 032-451-2164

퀵메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