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인터폰 사용법
-
STEP.01

비상인터폰은 객실 앞 또는 뒤쪽 통로문 오른쪽 벽면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
STEP.02

고리손잡이를 당겨 문을 엽니다.
-
STEP.03

인터폰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빼냅니다.
-
STEP.04

기관사의 응답이 들리면 긴급사항 및 객실내 상황을 알립니다.
기관사가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약 10초 후 열차를 통제하는 관제실과 자동으로 연결 합니다.
화재시 행동요령
발화 초기의 안전조치
- 화재발생시 발견자는 즉시 주위 사람과 기관사에게 알린다.
- 승객용 비상인터폰 이용(객실에 2개씩 설치) 또는 직접 기관사에게 알린다.
화재신고
- 승객용 비상인터폰 및 직접 기관사에 신고
- 119에 신고
피난유도
- 직원의 유도에 의하여 비상구를 통하여 안전한 곳으로 대피
- 직원의 유도를 받지 못할 땐, 화재시 최단거리에 점등된 통로유도 등 및 피난구 유도등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여 침착하게 외부출입구로 대피한다.
대피요령
- 운행중인 전동차
- 연기 및 유독가스를 피해 다른 객실로 이동한다.
- 객차와 객차사이 통로문을 닫는다.
- 질서 있게 열차가 정차될 때까지 기다린다.
- 전동차가 정차중일때
- 신속하고 질서 있게 전동차에서 내린다.
- 안내원의 지시에 따라 질서 있게 비상구를 통해 대피한다.
- 연기속을 통과할 때는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막고 낮은 자세로 통과한다.
- 공포감을 극복하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열차화재 예방 및 화재 발생시 손님의 협조사항
- 거동수상자 및 위험물질(휘발유, 신나 등) 소지자 발견시 이상행동 저지 및 신고
- 경찰인력 등 지원인력 필요시 기관사에게 통보(객실비상인터폰사용)
- 전동차 객실 내에서의 흡연 및 불장난 금지
전동차 내 비치기기 사용 및 행동요령
- 소화기 (위치 : 객실 앞·뒤 통로문 옆)
- 고정되어 있는 벨트를 앞으로 당겨서 풀고 소화기를 꺼낸다.
- 왼손으로 소화기 손잡이 아래 부분을 잡고 오른손 검지손가락으로 안전핀을 당겨서 뽑아낸다.
- 노즐을 잡고 불이 난 곳을 향한 다음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쥔다.
- 출입문 비상손잡이 - 비상스위치 (위치 : 출입문 상부 우측)
- 출입문 비상손잡이함을 위로 들어 올린다.
- 비상손잡이(스위치)를 잡고 오른쪽으로 비상위치까지 돌린다.
- 출입문을 양손으로 연다.
- 승객용 비상인터폰 (위치 : 객실 앞 또는 뒤쪽 통로문 오른쪽 벽면)
- 고리손잡이를 당겨 문을 엽니다.
- 인터폰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빼냅니다.
- 기관사의 응답이 들리면 긴급사항 및 객실내 상황을 알립니다.
- 기관사의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약 10초 후 열차를 통제하는 관제실과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승강장이 없는 곳에서 긴급히 하차 필요가 있을때
- 기관사의 유도에 의하여 운전실에 있는 비상사다리 이용
- 기관사의 유도에 의하기 어려운 긴급상황 시에는 출입문 비상스위치를 취급하여 문을 열고 선로에 내리되 반대방향 선로에는 들어가지 말 것.